반응형

전체 글 391

통합사회: 인간, 사회 환경을 바라보는 시각6

다음은 공간적 관점으로 한국사회 님비현상에 대한 특징 분석이다. 북미 유럽, 아랍, 중남미등 기타 지구상에 존재하는 온갖 사회에서 발생하는 갈등양상을 모두 비교해 볼 수는 없다. 그래도 일본인 중국인과 다른 한국인만의 심리적 요인, 역사적으로 제도적, 문화적 밈으로 다르게 형성된 측면이 있다는 생각이 합리적일까? 특히나 공적인 문제에 유난히도 무관심을 넘어서서 지나치게 소극적인 일본인, 공적 문제에 대한 이의제기가 원천 봉쇄된 중국인들과 다른 양상을 보이는 한국인, 한국사회의 특징은 어떤 것이 있고, 이것의 연원은 무엇인가. 사람 사는 곳은 서로간의 갈등과 투쟁이 일반적이다. 이해관계가 다른 것은 어쩔 수 없다. 집단을 이루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해온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통..

고등통합사회 2024.04.21

통합사회: 인간, 사회 환경을 바라보는 시각 5

한국사회 님비현상, 집단민원, 사회적 갈등 현상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먼저 시간적 관점으로 분석해 보자. 임대아파트, 요양병원, 특수학교, 대학기숙사, 이슬람 사원, 소각장, 쓰레기 매립지, 하수처리장, 정신병원, 양로원, 보육원, 장애인 복지시설, 기피하는 님비 시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집장촌.... 거의 땅 문제, 부동산 문제가 걸려있는 것이 공통적이다. 민(民), 피지배계층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생각 보다 빈번했다. 민란이라고 일컫는 만적과 망이 망소이 뿐이겠는가. 집단적인 의견 관철을 위해 칼을 들고 일어서는 것은 일반적이다. 폭력에 기대지 않고, 제도 시스템으로 해결하는 경향이 강해진 것이 역사의 흐름인바 조선 시대에는 집단 읍소, 청원이 비교적 자유롭게 이루어 진 것으로 ..

고등통합사회 2024.04.20

통합사회: 인간, 사회 환경을 바라보는 시각 4

화장장과 같은 기피하는 님비 시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임대아파트, 요양병원, 특수학교, 대학기숙사, 이슬람 사원 등등...놀랍게도 ‘도로’도 님비 시설로 건설 반대가 드센 곳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지가 상승에 결정적인 호재 사업이기에 도로는 놓아달라는 민원이 대부분이고, 반대하는 경우도 토지 수용과 관련된 분쟁이 일반적이다. 특히 지자체장이 결정하는 각종 도로 신설은 항상 특혜 시비가 따라 붙는다. 2004년, 경기도 신도시 ‘용인죽전-분당구미동 7m 도로분쟁’ 사건은 지자체간 갈등, 지자체 주민끼리 갈등, 도시계획의 문제, 그냥 님비로 끝나지 않을 격렬한 시위, 집회, 집단 민원이 항쟁, 민란 수준에 이르게 된 사례이다. https://www.grandculture.net/seongnam/toc/..

고등통합사회 2024.04.19

통합사회: 인간, 사회 환경을 바라보는 시각 3

인간, 사회 환경을 바라보는 시각 탐구 주제 및 활동 예시로 ‘지구촌의 당면 문제(기후 변화) 또는 우리나라의 사회문제(님비 현상)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에 관한 자료를 조사하여 통합적 관점에서 문제의 발생 원인과 그 해결 방안을 제안한다’ [교육부 사회교육과정 2015-74호][10통사01-01]]를 들고 있다. 통합적 관점, 총체적 이해가 필요한 이유로 복잡한 사회현상을 잘 이해할 수 있고, 근본적인 문제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고 한다. 과연 그럴까. 미래엔 교과서는 ‘고령화 문제’와 ‘지구온난화’문제를 사회문제로 선정했다. 아주, 아주 긴 시간이 축적된 문제고, 해결하기 위해서도 아주 긴 시간이 필요한 이슈인데, 적절하지 않은 주제인 것 같다. 모든 사회 환경 정책 전문가들이 고민하고 고민해도 해결..

고등통합사회 2024.04.18

통합사회: 인간, 사회 환경을 바라보는 시각 2

앤서니 기든스의 현대사회학 ‘사회학적으로 질문하기, p61~64 '(앤서니 기든스, 필립 서튼, 현대사회학 7판, 을유 문화사, 2013)에는 사회연구, 탐구의 관점을 사실적 질문 : 무슨 사회적 현상이 발생했는가? 비교질문 : 이러한 현상은 모든 곳에서 일어났는가. 발생적 질문: 이러한 현상은 통시적으로 일어났는가? 이론적 질문: 이러한 현상의 기저에 무엇이 존재하는가? 으로 사회를 연구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통합사회 각종 교과서에서 소개하는 시간적 관점, 공간적 관점, 사회적 관점, 윤리적 관점과 어느 정도 상응한다. 시 공간적 접근은 결국 역사와 문화에 따른 경로 의존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사회적 관점이란 것도 현 사회 제도 시스템이 작동하는 기제(메카니즘)의 긍부정적 영향, 순기능 역기능, 잠재적..

고등통합사회 2024.04.17

통합사회 : 인간, 사회, 환경을 바라보는 시각 1

[10통사01-01]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 사회, 환경의 탐구에 통합적 관점이 요청되는 이유를 파악한다. 인간의 삶을 이해하기 위한 ‘통합적 관점’은 하나의 사회현상에 대한 시대적 배경과 맥락, 장소와 영역 및 네트워크 등의 공간 정보, 사회 구조 및 제도의 영향력, 규범적 방향성과 가치 등을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의미한다. [교육부 사회교육과정 2015-74호] 탐구, 살펴보는 것에만 그치니까. 문제해결은 어불성설이다. 탐구한 다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발전된 논의는 아예 접어 두게 만든다. 역시 관찰자 시점일 뿐이다. 세상 혼란과 한발자국 멀리 떨어져서 관찰만 열심히 하는 것도 의미가 있겠으나, 관찰의 대상을 선정하는 ..

고등통합사회 2024.04.16

통합사회 과목에 희망을

2028 수능시험에서는 모든 응시생은 통합사회 과목을 치르게 된다. 지금껏, 주요과목 국영수에 밀린데다가 사범대 집단 이기주의 때문에 도덕과, 역사과, 사회과, 지리과로 찢어져서 17개 과목으로 나뉘어진 사회과 과목. 문과생 조차도 고득점에 유리한 쉬운 과목 2개를 수능에서 선택하는 바람에 철학,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지리, 역사등을 모른 채, 대학 학부에 진학하는 이상한 교육 결과가 계속 되었다. 하물며 이과생들은 내신 점수용으로 사회과목을 배우고 제대로 사회과목을 배우지 못한 결과일까. 사적 개인들 간의 부동산 임대차 계약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전세사기’도 사회에 대한 무지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한 HUG의 부실, 대위변제 금액이 3조원에 달하니까. 일반 국민들의..

고등통합사회 2024.04.15

덜 이상한 놈, 더 이상한 놈, 이상한 놈

모든 사람에게 좋은 사람으로 인정받기는 어차피 불가능하다. 그래도 좋은 사람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노력하는 사람이 좋은 사람이다. 좋은 사람이란 기준 또한 애매하다. 누가 좋은 사람인가. 훈육에 엄격한 부모와 자유방임형으로 키우는 부모, 말 잘 듣는 자식과 반항아인 자식, 어느 쪽이 좋은 부모, 좋은 아들 딸인지 불분명하다. 사람들은 꼭 마음과 정신의 병을 앓지 않더라도 원래 조금씩은 이상한 구석이 있는 법이다. 어떤 하나의 관점과 주제에 집착을 보이기도 하고, 관계 맺음이 서툴거나 어색할 수도 있고 때로는 실패하는 경우도 있다. 오해와 착오, 감정개입, 또는 논리에 대한 지나친 확신 등, 불확실에 대한 신념이 지나칠 때, 이상함의 정도는 커져 간다. 약한 자아에 대한 사회 환경의 공격이 개인 망상이나 ..

인문정신 2024.04.14

파묘 Exhuma, 2024

영화 ‘곡성’은 한국인의 심리원형, 무속 무교를 소재로 해서 사회학적인 접근을 한다. 반면 영화 파묘는 반일 종족주의까지는 나가지 않더라도, 한국인의 무의식에 내재된 반일을 다시 한번 확인 시켜 준다. 풍수지리와 무당 굿은 교묘한 장치일 뿐이다. 여우가 호랑이 허리를 끊었다는 비유. 어설픈 지도에 동물 형상을 대입한 조악한 풍수지리 인식의 결과이다. 친일파로 전향하기 전 최남선 선생이 한반도를 토끼로 생각하는 일본에 대항해서 호랑이 모양이라고 주장했는데. 정작 일본 측에서는 한반도 형세는 일본 열도를 겨누는 흉기, 내지 팔뚝으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었던 모양이다. 역사학계에서 논란이 있지만, 또는 심리적으로 불쾌함을 유발하기도 하지만, 고대 일본 왜(倭)가 한반도에서 군사적 활동을 한 것은 부정하기 어렵..

영화읽기 2024.03.28

말이 그렇다는 거지

정승환 & 김혜선의 개그, 찰싹 붙어 다니는 캐릭터의 대사이다. 정승환이 김혜선에게 "우리 에리카 닮은 딸 있었으면 좋겠다"라고 하자, 김혜선은 "지금 당장 만들까?"라고 끈적거리며 답한다. 그러자 정승환은 당황하며 "흐헝...말이 그렇단 얘기지"라고 말한다. 선의의 거짓말, 언어유희, 말장난이다. 정명(正命)을 강조한 공자님이 싫어할 만하다. 말을 바르게 한다는 것에 대한 저항도 만만치는 않다. 현실은 복잡다난하고 얽기 설기 섞여서 거짓말과 개소리, 잡설 구분이 되지 않는다. 다산 정약용 선생도 공자의 소정묘 처형에 찬성했다. 言爲而辯, 말솜씨가 좋은데, 사특해서, 사람들을 현혹시킨다는 것이다. 거짓말과 개소리를 극도록 싫어한 공자의 후예들은 소정묘에 대한 변론이 마음에 들지 않다. 할 말 많은 세상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