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국제관계

세계화와 K 컬쳐

켓세라세라 2023. 4. 12. 11:30
반응형

 세계화가 한국인들 일상생활에 미친 영향은 무엇일까. 식탁에서 보이는 수입 과일과 온갖 식재료들, 카푸어라 놀려도 그렇게 비싸지만은 않은 유럽제 독일제 중고 자동차들, 미드 영드 일드를 보며 우리의 BTS와 블랙핑크가 얼마나 잘나가는지 자부심을 느낀다. 그리고 한국생활을 찬미하는 것 일색인 유튜브의 외국인들 외국인 유학생들, 한편에서는 깻잎 노동자로 대표되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농촌에서 열일하고 있고, 그들의 열악한 처우와 임금체불은 가끔 조명될 뿐이기도 하다. 건설노동현장과 같은 산업현장에서 보이는 외국인 노동자, 그리고 돼지고기로 표현되는 이슬람 종교에 대한 혐오와 배척, 사회적 갈등의 한 축을 이룬다.

세계 다양한 인종, 민족, 글로벌 구성원들

 

 

 

더구나 공영방송이나 상업방송 할 것 없이, 아프리카, 중남미 오지, 이질적이고 다양한 문화를 소개하기에 바쁘다. 지중해 섬을 여행해줘야 하고, 산티아고 순례길을 걸어야 하고,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타며, 히말라야 트랙킹을 해 줘야 하는 욕망을 강요받는다. 또는 값싼 동남아시아에 골프백을 메고 열심히 관광을 다니기도 한다.

대한민국은 세계화 체제의 수혜, 중국 옆에 있다는 지정학적 이점으로 4차산업혁명 기간의 고도화된 산업화, 기계화, 자동화에 성공하면서 경제적으로 어느 정도 성공했음을 자찬하는 것이 잘못된 것만은 아니다. 그러나 세계 또 한편에서는 아직도 서양 열강들이 저질렀던 횡포와 강압의 결과로 인한 고통을 매듭지지 못하고 미래로 나가지 못하는 국가와 민족도 여전히 많다. 세계화의 강한 역풍을 맞고 힘들어 하는 선진국도 많다.

수출 상선

 

 

한국만이 세계화에 강하게 영향을 받으면서, 세계화를 주도하는데 주저함이 없는 것 같기도 하다. 오징어 게임 넷플리스 드라마나 BTS가 미국 본고장에서 상을 꼭 받아서만은 아니다. 또 한편에서는 서구사회에서 이미 오리엔탈리즘에 가까운 일본과 중국의 문화에 대한 유행과 동경, 그 연장선상에서 K컬쳐를 바라보기도 하지만, 한국의 문화 저력의 요소로 독특하게 한국식 스피드 있는 전개, 강한 인상을 주는 극적 갈등, 사회문제에 대한 풍자등을 꼽을 수 있다. 인도 발리우드에 조차 한국영화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하니까.

문화생산품도 교역 환경이나 경쟁력이 바뀌면 언제든 수입국과 수출국이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일본과 한국의 경우에도 애니메이션, 게임 등 일본 문화가 득세했지만 이제는 한국의 대중문화 경쟁력이 높아져서 우위가 뒤뀌었다. 또한 문화 교류가 활성화 되고 문화가 상품이 되어 국경을 넘나 든다고 해도 모든 국가들이 세련되고 경쟁력 있는 문화를 육성 탄생시킬 수는 없다. 한류가 결국은 서양 문화와 한국 고유의 문화가 융합하여 새로운 스타일로 재탄생한 하이브리드(혼종) 문화인 것을 부정할 수도 없고.

이란 수도 , 테헤란,slamic Republic of Iran,Tehran
이란 수도 테헤란, 이란에서 드라마 대장금은 시청율을 90% 기록했다. 네번 다섯번 반복해서 본 이란 사람들도 아주 많다고 한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일 수는 없다는 것은 사실이다. 지금 개고기를 자랑스런 한국문화라고 생각하는 이들은 없으니까. 또는 세계적인 것이 한국적일 수도 없다. 이는 문화 간의 충돌과 갈등보다 공존과 조화가 필요한 시대가 세계화 시대에 한국의 특수한 문화도 세계 보편성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는 당위적인 관점으로 해석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전 세계인으부터 사랑받았던 드라마 대장금의 경우 가장 한국적인 소재를 바탕으로, 개인의 성취와 사랑, 고난 극복등 세계인의 정서에 부합하는 보편적 공감대 형성이 가능한 세계적인 문화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토머스 프리드먼이 렉서스와 올리브 나무에서 지적한 것처럼, 렉서스가 상징하는 바, 생계유지와 생활수준의 향상, 번영 그리고 근대적인 생활환경은 전 세계 모든 인간이 추구하는 욕망이다. 또한 올리브 나무가 의미하는 전통문화, 비록 전통이든 현대화된 문화전통이든, 한 개인의 노력과 성취, 성장, 고난의 극복에 대한 서사, 권선징악을 좋아하는 것은 인류 보편의 심성이기 때문일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