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교실 안 세상과 교실 밖 세상

켓세라세라 2023. 3. 28. 10:14
반응형

가까운 이들의 죽음에서 비롯된 슬픔은 잠깐의 무기력을 경험하게 해줄 뿐이다. 단순한 가난과 빈곤도 그렇다. 절대적으로 가난했던 시절, 몸과 마음은 더 건강하기만 했었다. 문제는 상대적 박탈감이다. 학습된 무기력의 시작은 피할 수 없거나 극복할 수 없는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타인의 시선과 낙인은 참을 수 없음을 넘어서서 스스로에게 낙인을 찍은 결과이다. 자신의 능력으로 피할 수 있거나 극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그러한 상황에서 자포자기하는 마음은 중꺽마와 반대로 간다.
교실 안 세상, 불우한 환경, 왕따와 같은 정신적 외상, 급우의 괴롭힘, 폭력과 같이 자신이 해결하지 못한 어려운 문제에 직면한 학생은 우울증이나 정서불안을 갖기 쉬울 뿐만 아니라 자존감도 낮아진다. 드라마 글로리의 문동은처럼 시간이 지나 복수를 기획하면서 실행하는 것은 역시 드라마이기 때문에 가능하리라. 그리고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피해자였던 많은 이들은 감정적인 쾌감과 더불어 어떤 교훈을 얻었는가. 가해자들은 일말의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있는가. 또는 대부분 방관자 내지 동조자였던 더 많은 이들은 무슨 생각을 할까.

'더 글로리' 파트2 <사진출처=넷플릭스>

기대와 격려가 학생의 성적을 향상시킨다는 피그말리온 효과, 어느 정도 맞는 말일 것이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든 동물 실험이든 마찬가지로 교사와 같은 평가자의 기대와 격려는 항상 평범한 학생들에게 성적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낸다. 그러나 한번 만들어진 정신적 감옥과 지옥에서 벗어나는 것은 어렵다. 삶의 가치와 교훈을 항상 우리는 강조한다. 주어진 조건과 환경을 이겨내라고, 목표를 이루는 삶의 자세를 보이라고, 성공은 멀지 않으니 굴복하지 않으며 의지를 가지고 주체적으로 저항하라고. 문제는 피그말리온 효과가 있다 할지라도 학습된 무기력이 있으면 그 효과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격려와 기대, 자신을 더 사랑하라는 메시지는 여전히 중요하다. 주변 타인으로부터 따뜻한 격려와 기대를 받게 된다면 보다 향상된 성적이나 자기 일에서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처해있는 학습된 무력감의 정도가 심한경우, 또 사회 환경, 경제적 환경이 극도로 악화되어 있는 경우, 지속적인 정신적 신체적 폭력에 시달린 경우 무력감에 빠진 이유에 대한 정확한 사전의 이해 없이는 피그말리온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어렵다.

반응형

교실 밖 세상. 대비되는 두 가지 뉴스가 눈에 띈다. 한편에서는 “한국인들의 명품 강박관념과 허세”를 분석한 외국인들의 분석이 부끄럽다. 그리고 이 모든 사회적 학습된 무기력의 기반이다. 교실 밖 어른들의 돈 자랑 경쟁, 허세, 물질적 성공지향, 누구에게도 밀리지 않으려는, 또는 꺾이지 않으려는 심리를 지적한다. 또 다른 한편에서 소액 생계비 대출은 기본 대출 50만원, 병원비 같은 급전이 필요할 경우 최대 100만원에 줄 선 사람들에 대한 뉴스. 정말 50만 원도 아쉬운 마음. 우리들의 교실 밖 세상, 우리들의 자화상이다.

출처 : 로이터 통신

돌이켜 생각해 보면, 초중고 교실 안에서 벌어지는 가해자와 피해자의 상황들. 누군가는 학교폭력은 불가피한 어쩔 수 없는 인간의 본능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교실안에서 극한 경쟁으로 몰아넣어 가해자 피해자를 양산해, 학습된 무기력으로 몰아넣는 어른들, 학부모들, 교육입시체계, 부끄러워 해야 한다. 그 까짓 것 의사 나부랭이가 된다는 게 무엇이라고, 명품 시계를 두르고, 외제차를 몰고, 강남신축아파트에 살며 명품 가방과 옷으로 치장하며 해외여행을 밥먹듯이 다니는 것이 뭐가 부러운 일이라고.
같이 사는 이들과 더 나누라고, 공생과 상생을 자신의 삶의 영역에서 실천하고 꿈꾸라고, 전쟁과 폭력이 없는 세상을 지향하라고, 약자를 위해 더 헌신하라고, 더 서로를 존중하고 아끼면서 무의미한 인생에서 참된 삶을 살아가라고. 교실 안과 밖의 세상에서 가해자 보다 더 나쁜 동조자들, 그리고 더 나쁜 방관자들. 못된 마음에 대해 용기를 내어 이건 결코 아니라고, 스스로 조직과 집단 내에서 질서와 균형을 잡아가는 이들이 더 많아져야 해결될 문제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