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사회/통합적 관점

사회적 관점은 사회 구조 및 제도의 영향력에 초점을 둔다.

호요토호 2025. 3. 15. 19:02
반응형

사회적 관점이란 것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연구대상인 사회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모임, 집합을 의미하지만, 사회학에서는 사회를 복수, 다수의 개인들이 모여 있다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개인과 개인과의 관계, 개인과 집단과의 관계, 집단과 집단과의 관계, 그 관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것들이 사회의 연구대상이다.

이런 의미에서 사회적이란 의미는 본능과 대비된다. 자연의 결과로서 인간에게 부여된 욕구와 욕망으로 사회 현상, 예를 들어 두 남녀가 만나 결혼을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지만, 어느 사회나 주어진 제도와 시스템에 의해 성과 사랑의 문제를 해결한다. 일부일처제, 일부다처제, 일처다부제, 비혼주의와 같은 다양한 시스템이 존재하고, 그 각각의 시스템에 대한 비교는 가치의 상대적 관점을 유지할 것을 요구한다. 모든 사회현상에는 그러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이유가 다 있는 것이다.

또한 사회적 관점이란 것은 객관적 외부 환경인 자연조건 지리적 조건과 일정 정도 거리를 둔다. 당연히 각각의 사회는 외부 자연조건의 영향을 받는다. 밀과 쌀, 각각의 생육 조건이다르고, 투입되고 조직되는 노동의 성격도 달라질 수 있다. 그 차이에 의해 사회와 문화의 성격도 달라질 수 있다. 그럼에도 결정적인 요인으로 쌀 생산에 적합한 기후, 그 자체 보다 사회 구성, 계층 간의 협력과 경쟁, 갈등에 더 초점을 두고 사회변동을 바라본다. 중세 시대 조선과 일본, 모두 쌀이 중요한 먹거리였음에도, 중심의 일본과 중심의 조선은 사회시스템이 무척 달랐다.

반응형

그렇기 때문에 개인의 사랑, 성취, 학습, 일자리, 소비, 여가생활, 기술, 종교생활, 병 치료, 노화, 죽음은 모두 사회적일 수밖에 없다. 더 나아가서 사적일 수 있는 가족, 친구, 연인과의 대화와 관계, 의사와 환자, 의료제도, 공무원과 민원인의 관계, 입시 교육, 취업과 승진, 정치적 지향과 선거, 언론과 여론, 미디어와 SNS, 과학기술이 야기한 문제, 환경문제, 환율과 금리 문제, 이민과 난민 문제 등 다루지 못할 주제는 없다.

넒은 의미에서 사회적 관점이란 의미는 시간적, 공간적, 윤리적 관점을 모두 포함한다. 2000년 전에 쓰여진 사마천의 사기는 역사책이지만, 시간적 공간적 윤리적 관점을 모두 포함하는 훌륭한 사회 교과서이기도 하다. ‘인간과 하늘의 관계를 구명하고 고금의 변화에 통달하여 일가의 주장을 이루려는 것이 목적이라고 사마천은 사기 저술의 목표를 밝힌다.

그러나 사회학에서 사회적 관점은 조금 시야를 좁혀서 정밀하게 세상을 바라볼 것을 요구한다. 눈으로 세상을 보는 것을 망원경으로 확대해서 보거나 현미경으로 세밀하게 작은 것을 볼 것을 의미한다.

사회는 구조와 제도로 이루어 졌다. 즉 온갖 네트워크와 시스템에 의해 사회 내 사람들의 생활은 영위된다. 그리고 그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완벽하지 않다. 마치 경쟁과 갈등이 일반적인 사회구조와 제도로 인식할 수 있지만, 균형과 안정의 논리를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어찌보면 그 각각의 논리, 이론적 틀이야 말로 세상의 변화와 관계를 규정짓는 힘이다. 그 힘에서 한 개인은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그래서 사회적 관점이란 것은 넓은 의미의 사회적이란 의미보다, 좀 더 정교하게 사회를 바라볼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 이론적 틀에 대한 학습은 사회구조, 사회제도에 갇힌 개인을 좀 더 자유롭게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