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소크라테스 플라톤 2

중용의 덕을 실천하라.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은 각자의 주관적인 느낌이 아니다. 인간의 존재 방식, 인간의 본성을 지배하고 인도하며 아름답고 신적인 것을 사고하는 이성, 이성에 알맞은 德스러운 활동을 의미 한다. 즉 인간의 이성적 기능을 탁월하게 수행하는 것이 행복이다. 그러니, 이성에 의한 감각적・육체적 생활을 절제하는 것은 마땅하다. 이런 생각은 헬레니즘 시대, 스토아 학파로 이어진다. 이성에 알맞은 덕을 실현하는 활동, 그 덕은 중용의 덕을 의미한다. 떡이면 좋으련만, 그 덕은 과도함과 부족함의 양 극단을 피하거나 치우치지 않으려는 의지를 습관화한 덕이다. 그 덕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충동, 정욕, 감정 등을 억제해야 한다. 중용이란 산술적인 중간이 아니고, 적당한 시기에 적당한 동기에서 적당한 방법으로 행위 하는 능력을 ..

이디오크러시, Idiocracy, 2006

황당하고 저속한 B급 코미디 영화이다. 미국사회의 어두운 면을 가볍게 다룬 것 같지만, 풍자는 신랄하다. 미국사회 지식인들은 자신의 사회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알 수 있는 영화이다.영화제목 이디오크러시(Idiocracy), Idio는 바보, cracy는 지배라는 말이니까. 데모크러시의 조합처럼, 바보들이 지배하는 사회체제를 말한다. 지능이 평균인 한 미국인이 타임 슬립해서 간 미래 2500년의 세상은 엉망진창이다. 주인공은 지능이 좀 모자란 평범한 인물인데, 미래사회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으로 활약한다. 영화 이디오크러시에 나오는 이디오는 Fool을 의미한다. Idiot는 원래 지금의 바보 천치, 멍청이 이런 의미로 쓰여 지지는 않았다. 고대 그리스에서 Idiot란 자신의 문제에만 관심을 갖고 공동체 문제를..

영화 이야기 2025.01.0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