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예끼 마을, 선성현 문화단지를 둘러보고, 선성 수상길 부교를 걸으며 산책하다, 그리고 이육사 문학관으로 향한다. 17번의 투옥, 40년의 생애에서 성인이 된 후 감옥에 더 오래 살았던 삶은 저항이란 말도 소극적으로 느껴진다. 시 쓰는 것은 그냥 취미 활동에 불과하고, 직업이 독립운동가이자 혁명가에 어울리는 분. 국화 앞에서 누님을 읊조리고, 마쓰이 송가를 부르며 일제 동원령에 앞장섰던 시인이나, 목이 길어 슬픈 짐승이라고 친일에 적극적이었던 이들과 같은 반열에서 국어 교과서에 시가 실릴 분이 아니다. 계속되는 독립운동과정에서 결국 숙명처럼 내린 결론, ‘무장투쟁’이다. 선생이 의열단 활동을 한 것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의열단 산하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에 다니면서 해방된 조국의 미래를 꿈 꿨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