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합적 관점
[01] 인간, 사회, 환경을 바라보는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의 의미와 특징을 사례를 통해 파악한다
❙윤리적 관점
사회구조 이해를 통한 사회현상, 사건 파악이 중요하다고 해서 개인의 행위를 무시할 수 없다. 사회의 구조와 개인의 행위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윤리적 관점에서 개인의 행위와 사회 규범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즉, 사회적 관점으로 세상을 이해하는 것은 현 사회 제도 시스템이 작동하는 기제(메카니즘)의 긍부정적 영향, 순기능, 역기능, 명시적 기능, 잠재적 기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시공간적 관점과 결합해서 윤리적으로 사회적 현상을 평가할 수 있다. 윤리적 관점은 사회적 사실 내지 현상이 갖는 의미와 가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또는 왜 이러한 일들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모든 인간적 질문에 심사숙고 하는 것이다.
인간적인 도덕 윤리적 질문은 한 개인이 사회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감정과 정서로부터 야기되는 문제들, 그리고 어떤 행동이 지닌 가치에 대해 신뢰하거나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한 평가를 아우른다. 한 사회 현상 안에는 얼핏 보면 아무런 생각 없이 기계적이고 습관적으로 행해지는 행위가 있을 수 있지만, 그 행위의 바탕에는 목적이나 수단과 같은 합리적으로 선택된 실천적인 목적이 자리 잡고 있다.
채식인과 채식주의자는 다르다. 비혼이 개인의 결심으로 가능하다고 해도, 비혼주의는 결국 사회적인 현상 일 수밖에 없다. 두 남녀가 연애를 하고 결혼을 하고, 가족을 이루며, 아이를 낳고 기르는 모든 과정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모든 개인의 행동은 사회의 강제적인 힘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개인의 욕구와 양심에 기초한 가치판단, 사회 구조, 법과 규범에 내재되어 있는 가치판단, 그 바탕에 놓인 여러 생각과 감정들, 마음들에 대해 옳고 그르고, 좋고 나쁨에 대한 평가, 더 나아가서 아름다움과 추함에 대한 논의가 어찌 보면 가장 중요하다.
이 모든 사회 탐구의 관점과 시각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결국 사람의 마음, 심성이다. 시간적 흐름, 지역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문화의 차이, 제도와 시스템에 숨겨진 제도 기획자들의 마음, 윤리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나’는, 우리는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가?라는 질문, 도대체 사회 내 벌어지는 각종 사건 사고, 현상들 중에 어떤 것을 옳게 여기고 어떤 것을 잘못되었다고 판단해야 할 것인가?
학생들은 세상에 대한 일정한 지식을 접한다. 사회와 문화, 그 힘의 작용과 반작용, 변화의 한 가운데서 일관된 어떤 큰 흐름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심사숙고를 통해 방향을 찾아 볼 수 있지 않을까. 모두가 참여하는 하나의 해법, 전략, 대안은 어차피 힘들다. 그렇더라도, 인간 사회 환경을 보는 여러 가지 관점을 익히면 어렵고 힘든 사회생활을 헤쳐 나가는데 힘이 되지 않을까.
'통합사회 > 통합적 관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사1 01-02] 통합적 관점으로 인공지능의 문제 탐구 (1) | 2025.03.14 |
---|---|
[통사1 01-02] 인간, 사회, 환경의 탐구에 통합적 관점이 요청되는 이유 (0) | 2025.03.14 |
[통사 01-01] 사회적 관점의 의미와 특징 (1) | 2025.03.13 |
[통사 01-01] 시간적, 공간적 관점의 의미와 특징 (0) | 2025.03.12 |
통합사회, 인공지능 시대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 (1) | 2025.03.12 |